Kim Jae Il

Kim Jae Il (b. Seoul, 1969) is a sculptor who draws inspiration from transitional energies. In consciously avoiding figuration and in citing the influence of nature and spirituality on his work, Kim's approach reflects an attitude which began with artists who, in the 1970s, started producing works in reaction to the realism that had been prevalent in Korean art. While extending these interests, Kim's use of negative space also responds to what he sees as extrovert and unequivocal tendencies in contemporary art. Unfolding in a spirit of generosity and resistance, Kim's abstract works invite contemplation over time.

Kim Jae Il is of a generation of artists in Korea that follows those who experienced the Korean war at first hand in 1950-53. In the aftermath of the conflict, artists such as Park Seo Bo chafed against realist painting as wholly inappropriate to express the self-destruction, renewal and individualism through art that they craved. The 1970s saw dramatic developments in artistic culture in South Korea and the beginnings of the Dansaekhwa (monochrome) movement, in which abstraction and neutral colour enabled artist to relinquish the real and empty themselves of existing sensibilities. In its pursuit of negative space as a rich abstract medium, Kim's practice references that of Dansaekhwa figures including Park Seo Bo and Chung Sang-Hwa, whose process of "making and emptying" has had a direct influence on him.

For the last nine years, Kim has worked with an intaglio technique to achieve layers of perforated surface which are then enlivened with a single or gradient of colour. The meshed, pocketed form that results from a process of casting and carving resin at first glance belies its three dimensional structure, concealing the negative spaces inside it. For Kim, this hidden environment offers an opportunity for the viewer to penetrate the work, discovering it gradually and by applying their own energy to what they see. These inverted reliefs reflect the three dimensional "void sculptures" of Lee Bontecou, whom Kim sees as a major influence; Lucio Fontana's Buchi (holes) and Tagli (slashes) series also explore the potential of space carved into the works' surface, and have helped inspire Kim's sense of composition.

In Kim's sculptures, emergence and subtraction are held in dynamic balance. These abstract lattices of circular space suggest at once the micro-structures of living cells and the vast tapestry of the stars. The artist creates windows between different states inside each unique sculpture and in their relationship to the viewer—dynamic constellations symbolizing life at its most vital, realized by an individual hand.

Iona Whittaker (Independent Curator, UK)

김재일

조각가 김재일(1969년 서울 출생)은 변화하는 에너지를 통해 영감을 이끌어내는 작가이다. 구상적인 경향을 회피하고 자연의 영향력과 강한 정신성을 강조하는 그의 작업은 1970년대의 한국 미술에서 지배적이었던 사실주의의 경향에 반대하는 작업을 한 작가들의 자세를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자신의 관심사를 확장시키는 그의 작품 세계에 나타나는 여백의 미는 그가 보는 오늘날의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적극적이고도 모호한 경향에 대한 반응이라 할 수 있다. 예술의 다양성과 저항 정신을 펼쳐 보이는 그의 일련의 추상 작업들은 시간을 넘어 우리를 하나의 명상의 세계로 초대하고 있다.

김재일은 1950년에서 1953년 사이에 한국 전쟁을 겪은 예술가 이후의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전쟁의 후유증을 겪은 후 박서보와 맥을 같이 하는 일련의 예술가들은 작품을 통해 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자기 파괴, 갱생, 그리고 개인주의 등의 성향을 사실주의 화풍으로 표현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1970년에 한국 미술은 대단한 발전을 이룩하였는데 추상주의와 중성적인 색채의 사용이 작가들로 하여금 사실주의와 결별하고 작업을 통해 스스로를 비우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주었다. 여백의 미를 추상의 한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는 작가 김재일의 작업은 박서보, 정상화 등의 선대의 예술가들이 추구했던 '예술 작품을 만들며 동시에 자신을 비우는' 자세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지난 9년간 그는 기포의 층을 형성하여 단색 혹은 다색의 색 변화를 보여주는 화면을 구축하기 위한 그만의 음각 기법을 작업에 도입하였다. 주형 뜨기 혹은 합성 수지 조각의 결과물로 보이는 그물망과 같은 시각적 효과는 언뜻 그 안의 여백을 숨기며 그 삼차원적인 구조를 의심하게 만든다. 그러나 작가에게 이러한 숨겨진 공간은 감상자로 하여금 작품을 꿰뚫어보게 만들어주는 장치이며, 그렇게 점진적으로 그들의 에너지를 투여하며 작품의 진가를 발견하게 만드는 단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러한 역설적인 강조는 Lucio Fontana의 작품 'Buchi', 'Tagli' 등에서 영향을 받은 작가 Lee Bontecou의 삼차원 작품, '빈 조각들(void sculptures)'에 나타난 공간 표현에 대한 잠재력과 작품 구성 감각을 도입하여 더욱 심오하게 탐구한 흔적을 보여준다.

그의 조각 작품에 나타나는 발현과 생략 등의 요소들은 역동적인 균형 아래에서 표현된다. 원형의 공간에서 보여지는 이러한 추상적인 격자무늬의 형태는 살아있는 세포들의 미세한 구조물 혹은 거대한 은하수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그만의 독특한 조각 작품 속에 내재해 있는 여러 다른 차원들과 그것들을 공유하는 관객들과의 사이에서 하나의 창을 창조해내며, 그렇게 개개인에 따라 달리 해석 되어지는 가장 역동적이고 생명력 있는 성좌를 표현해내고 있다.

Iona Whittaker (Independent Curator, UK)


Kim Jaeil's work of art, traces encompassing the reality and the world of infinity

A Korean poet, Kim Jiha once wrote that the universe is the body of the God. In that sense, it seems natural that an artist, Kim Jaeil has turned the direction of his artwork toward 'the universe' after working on sculptures of a human body that skin and bones. He asks questions of human existence by visualizing both the beauty of a human body that is the micro-cosmos and that of the universe that is the macro-cosmos.

Why do we exist? It is a question of what a human being really is. Also, it is the main topic of his previous artworks featuring with his interest about a human body that may be just a chunk of meat. For his previous works, he put a chunk of meat in an acrylic case and installed red lights. However, he started looking at the macroscopic aspects of human existence, which led him to explore the universe as the subject matter of his work of art. Now he visualizes his effort to catch stars twinkling up in the sky, symbolizing human desire that belongs to a human body that may be just a lump of meat.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his artwork has changed into an art form, in which visual pleasur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before.

He makes a cast out of clay and pour resin into the cast. After refining with glass fiber, he applies acrylic paints on it. As if creating a life form, the process of making his artwork is about visualizing the night sky on the earth where human desire sparkles like stars. As a human being, our lifespan cannot be compared to the eternity of the universe. It is like a moment that is frail and transient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catch the shimmer of the sky. After all, the history of human existence is just a trace.

His recent works are about human desire and the traces of it, which explain why those colorful artworks hanging on the wall look beautiful and bright. However, each of them apparently shows us his agony as an artist. By saying that he is deeply influenced by artists, such as Lucio Fontana who has a great sense of space composition, Lee Bontecou who is known for his own relieved sculpture, and Frank Stella whose artworks have features of sculpture, he alludes to how he struggles to find his own way of expressing himself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while studying certain artworks that express the depth of space.

His previous works, which were about a lump of meat occupying the space, have changed into a relieved sculpture visualizing the universe hanging on the wall. It is his unique universe where two or three states encompassing this world and another world are layered, functioning as a window or a door to one state another. It is a world of karma that is the core view of the Oriental world.

A French writer, Marcel Proust once wrote in his book called 'In search of lost time', “Only through art can we emerge from ourselves and know what another person sees.” The world of Kim Jaeil's artwork, in which he tries to expand the traces of this world into the universe, shows us the fate of a human being that he or she cannot be something else but a human being even if that person is able to expand into the infinity. Like a French philosopher, Alain Badiou explained, artistic events leave “traces”, they change things and “leave a cut in the world.” They have this transformative action, and between the traces they leave behind and the relation of the body to the world there is the subject. The body is either characterized as entirely material, says Badiou (the subject is reduced to the body, your identity is defined by your body), or the subject is seen as entirely transcending the body – dualism. Neither of these will do, so Badiou's suggestion is that we need a third subjectivity, which does not reduce the subject. Art has to become the trace of its own action. It must be the place of its taking place. So the work of art is self-sufficient in its own secretive way, which is the equivalence of the art and desire.

Through his work of art, he shows us a lot of beautiful traces that represent our insatiable desires and trauma that cannot be healed. They make us realize how fragile we are as a human being in the eternity of the universe, to which we project our desire to reach the infinity. Dreaming of the world of eternity that shimmers with splendid colors while belonging to a human body that has skin and bones, he suggests another world that can be both the reality and the world of the infinity as if the two worlds are transferrable.

A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a said, “The trace is not a present but is rather the simulacrum of a presence that dislocates, displaces, and refers beyond itself. The trace has, properly speaking, no place, for effacement belongs to the very structure of the trace… In this way the metaphysical text is understood.” Those beautiful traces appeared in Kim Jaeil's work of art show us that they multiply themselves with the power of beautiful colors as if being a living but dead creature craving for this world and the world of eternity at the same time, erasing and healing themselves. As long as he doesn't stop asking himself questions of who he is and of what a human being really is, his work of art, the traces of the world could lead us to a further and deeper place, shining with the brightest and happiest light.

Hye-jung Chun (Independent Curators)

김재일, 유한과 무한이 조우하는 흔적의 세계

시인 김지하는 '우주는 신의 몸'이라고 썼다. 오랫동안 신체의 살과 뼈의 모습 작업하던 김재일의 작업이 우주로 향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소우주(micro-cosmos)인 신체를 통한 이야기와 우주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한 대우주(macro-cosmos)는 모두 우리 인간 존재에 관한 질문이다.

우리는 왜 존재하는 것인가, 인간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은 그의 초기작에서 단지 고깃덩어리에 불과한 인간 신체에의 관심을 이끌었고 아크릴 케이스에 고기를 넣고 피와 같이 붉은 조명을 켜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좀 더 거시적인 인간에 대한 시각은 그를 우주로 이끌었다. 살아있는 고깃덩어리에 불과한 인간의 욕망은 하늘의 반짝이는 별을 붙잡으려는 노력으로 나타났고 기존 작업보다는 시각적 쾌감을 중요시하는 작업으로 바뀌어졌다.

흙으로 캐스팅을 하고, 레진을 붓고 유리 섬유로 보강을 한 후 반짝이는 아크릴 물감으로 흙을 파낸 구멍을 칠하는 그의 작업 과정은 살아있는 생명체를 만드는 동시에 하늘의 별을 땅에서 재현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별을 잡으려는 반짝이는 인간의 욕망은 흙이 비워진 구멍마다 저마다의 빛을 내보이고 있다. 우주가 품은 만겁의 세월 속에서 인간이 차지한 시간은 찰나에 불과할 것이다. 아무리 반짝임을 제 손에 품으려 해도 그것은 모두 덧없는 것이고 인간의 역사는 흔적에 불과할 뿐이다.

김재일의 작품은 그런 인간의 욕망과 흔적을 담고 있다. 반짝 반짝 고운 색의 벽에 걸린 작품들은 그래서 한없이 아름답고 가벼워 보이지만 제 속에 스스로의 고민을 쌓고 있다. 작가 스스로가 밝히듯이 루치오 폰타나(Lucio Fontana)의 공간 구성과 리 본테쿠(Lee Bontecou)의 독특한 부조,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조각에 영향을 받은 모습은 작가가 얼마나 공간을 점유하는 작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회화와 조각의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는지 그 흔적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공간을 점유하던 고기 덩어리였던 김재일의 작품은 어느새 벽에 걸려 음각으로 우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 세 세계가 중첩되어 맞물려 돌아가는 김재열의 우주는 지금 여기에 있으나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이자, 다른 세계가 이 세계로 나오고자 하는 창문이 된다. 둥글게 돌고 있는 그 세계는 원형적인 시간관을 가지고 있는 동양의 세계이자 모든 흔적인 한데 뭉쳐 빛나는 카르마(Karma)의 세계이다.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예술 덕분에 우리들은 단 하나만의 세계, 즉 우리의 세계만을 보는 대신 그 세계가 스스로 증식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썼다. 우리의 세계에서 우주의 세계로 증식한 김재일의 세계는 끊임없이 확장하나 제 운명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삶을 보여준다. '예술의 흔적이 신비로운 것은 그것이 예술의 흔적 그 자체의 흔적일 뿐이기 때문이다.' 알랭 바디우(Alain Badiou)가 설명하듯 '예술은 세계 안에 어떤 흔적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 흔적은, 자기 자신의 궤적과만 관계 맺으면서, 그 자신의 수수께끼에 관해 닫힌 채로 있다. 예술은 (현실적인 의미에서의) 대상과의 만남 없이 어떤 대상의 흔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여기에 예술의 신비가 있다. 모든 대상을 생략해버린, 예술과 욕망의 등가성의 신비 말이다.'

김재일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흔적은 실은 도달하지 못한 욕망이고 치유되지 못한 상처이다. 그럼에도 이 흔적은 세계 속에 우리가 살고 있는 영겁의 시간 속에 인간의 작고 보잘 것 없는 존재와 유한성을 되새기게 해주며 무한과 영원을 향해 약동한다. 살과 피로 이루어진 가장 원초적인 세계에서 저 멀리 영원을 꿈꾸는 반짝이는 찬란한 색채의 우주에 대한 끊임없는 갈구로, 김재일의 작업은 전혀 다른 세계를 보여주지만 속(俗)과 영(靈)의 세계는 작품 속 구멍의 흔적처럼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끊임없이 이동한다.

'흔적은 흔적을 남기며 동시에 흔적을 지우는, 살아 있으나 동시에 죽어 있는, 그리고 늘 그러하듯 삶을 위장하여 간직하고 있는 표기 속에서 살고 있다.' 데리다(Jacque Derrida)의 설명처럼 김재일 작품 속의 흔적은 아름다운 색으로 그 상처를 지우나 스스로 끊임없이 흔적을 지우며 살아있는 이 살과 피의 세계와 죽어있는 영원한 영겁의 세계를 제 몸 속에 아로새기며 살아있으나 죽어있고, 죽어있으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스스로를 증식시켜나간다. 밝은 빛 속에서도, 행복한 반짝임 속에서도 '나는 누구이며, 인간은 어떠한 존재인가'라는 질문을 멈추지 않는 한, 김재일이 보여주는 흔적의 세계는 더 먼 곳으로, 더 깊은 구멍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그리고 빛을 낸다.

전 혜 정 (독립 큐레이터)


Kim Jae Il's Uses Negative Space to Create An Imaginary Landscape Of Bubbles

The artist Kim Jae Il is playing a game, using a make-believe print effect to entice the eyes to get lost into the pattern; voluptuous lines of textured round drops running on the canvas. This is the beautiful visual Kim Jae Il is giving us. If watched from far away the viewer is mesmerized by the scenery, colored water bubbles creating a spiral, loosing itself within the white background.

The bubbles seen are in fact the opposite of a texture. They are the result of an image incised into a surface, the negative space accentuating the hollow shape. This technique is called intaglio. It's a print technique where the lines to be printed are cut into the base material. Kim Jae Il is using three dimensional sculptural expressions blended with two dimensional pictorial expressions. The cubic and plane layers are meant to push forward the perspective and fabricate an optical illusion.

Kim Jae Il's intention is to turn the most ordinary into a dynamic mode. Using the motion as a vanished mirage; leaving a vague trace that can only be remembered. The artist wants to “engrave his own vestige”. He gracefully invites us to dig into his art, not just to admire it from far. Because like this vibrating world that we are living in, there's more that can be decrypted.

by Tamara Akcay

김재일은 (negative space)'물체에 의해 둘러싸여 생기는 공간'을 이용하여 (비누)방울의 상상적 풍경을 창조한다(만든다).

예술가 김재일은 (print effect)'프린트 효과(조각 효과)'를 이용하여 패턴 안에서 (eye)'눈'이 길을 잃게 유도하게 하는(playing a game) '게임을 하고 있다'. 관능적인 라인의 조화로운 둥근 방울들이 캔버스를 뛰어다닌다. 이것은 김재일이 주는 아름다운 비주얼(시각적 효과)이다. 멀리서 보면, 감상자는 그 풍경(광경)에 유혹되고 빠지게 되는데, 색이 칠해진 물 방울들은 나선(소용돌이)을 만들며 하얀색 백그라운드 안에서 스스로를 잃는다.

보여지는 버블들은 사실 '조화'의 반대이다. 그것들은 표면으로 새겨진 이미지의 결과이고, (negative space)'물체에 의해 둘러싸여 생기는 공간'은 빈 공간을 강조하고 두드러지게 한다. 이러한 기법은 (intaglio)'음각'이라고 한다. 이것은 조각되는 선들이 (base material)'기판'으로 조각되는 (print)'조각'기법이다. 김재일은 삼차원적인 조각적 표현을 이차원적인 (pictorial expression)'회화적 표현'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입방체'와 '면'의 (layer)'층'은 원근법으로 계속 나아가게 하고, 착시를 유도한다.

김재일의 의도는 가장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을 역동적인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사라진 신기루로 (motion)'동작'을 사용하면서, 기억될 수 있는 희미하고 모호한 (trace)'추적'을 남긴다. 이 예술가는 "그 고유의 자취를 남기고" 싶어한다. 그는 우리가 그냥 멀리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빠질 수 있도록 그의 예술로 기품 있게 초대한다. 왜냐하면 (그의 작품은)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이러한 진동하는 세계와 같기 때문에 해독할 수 있는 부분이 더 많기 때문이다.

by Tamara Akcay


Vestige : Between Scenery and Non-scenery

Everyone might have memories to experience cases which take themselves by arousing huge sensitivity at a certain moment by meaningless things passed innumerably in the space of life. Since that time, the object-thing or scenery becomes floating textualized scenery according to traces of memory by settling as a decataloged scenery instead of cataloged object-scenery of our fixed recognition world.

Artist Kim, Jae Il subverts ordinary scenery image that we are seizing easily. Certainly, he does not reproduce trees, beach, and stars as integrated or engraved image. I mean, it is not representational reproduction about scenery. Only, he chooses three-dimensional formative method to embody visible images of objects (sceneries) with round lumps of clay but he reveals engraved area on the two-dimensional planar after casting this. In other words, he just excludes overlapped space of positive yang but suggests shimmering of space of negative yin before us. His overlapped negative space and color dots distort reproduction-image for our objects composed substantially and play the role of latitude and longitude to reconstruct our fragmented scenery-images only. Through the way to reveal these unclear forms of scenery, he leads us to capture the different world that is developing in perception, that is, vibrating world from artificial expression systems of geometric composition method or conscious imagification. Perhaps, due to imagificated reasons for inherent traces in scenery that is not seized easily, he makes “something about the traces” formed in the close relation between visible space and invisible space shines by itself.

And the thing to pay attention i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he artist is the exchange from three-dimensional formative method to two-dimensional formative method. Likewise to catch the impression of object through contrast of chromatography in painting area, he tries to capture impression made by crashing between boss and relief by composing negative spaces into integrated planar. In addition, by comprehending scenery-image as geometric structure, he reveals the phenomena of object-world that cannot revert to geometric structure, which cannot be captured, instead of expresses coincidence of the existence and our awareness. These acts would be the attitude not to reproduce the represented world but to put the things to be presented at the moment that encounters the object. This can be non-represented attitude; non-representation is different from the way that an artist makes works similar to things in actual world to express the represented world of the artist. The attitude to pay attention to object (scenery) as a stranger who is stirred through one's own eyes, in other words, the act to meditate the phenomena occurred in objects as forms of objects can be the attitude of non-represented features. In case of Kim, Jae Il, it would be the attitude to show the phenomenal 'trace' appeared in the objects at the moment encounters the objects as it is. And the represented images of the artist are made by the meeting between physical body and the world, that is, 'in' physical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tanglement of the two. These personal imagery-images remind that the mention of Roland Barthes that the picture of his mother would be a trivial photo for others but as for himself, it is the place to occur Punctum for his mother and the world which cannot share with nobody. Like Barthes, works of artist must be the place to occur most valuable memories for oneself and the expression of personal emotion which is immensely private and impossible to share. However, the purpose of the artist is not the primary strategy to bring us into his world of experience. Here, we come to discover that the scenery of the artist became de-materialization and de-tessellation at the moment of mental breakaway that the meaningless traces coverts into meaningful traces during the process to transfer according to the primary expression intention of the artist.

In other words, the artist tries to show by revealing 'traces' as a common sense or personal 'traces' which were concealed beneath his ordinary scenery and takes the way to induce reinterpretation, have a new understanding and awake the meanings occurred in that place newly by making borrowing the shape of ordinary scenery morphologically.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artist is not the reproduction or restoration of shape but beyond the phenomena of all objects by “the certain powers” occurred in these reproductions, and the way to suggest perceiving the features of the world. Through changeover from ordinary scenery to de-scenery, the artist attempts to deliver the story which is closer to our lives.

Hwang, Chan Yeon (Science of Arts, and Philosophy of Art)

흔적 : 풍경과 비-풍경 사이에서

삶의 공간 속에서 수없이 지나쳐왔던, 그저 무의미한 것들이 어느 순간 거대한 감응을 불러 일으키며 자신을 장악해 버리는 사건들을 경험한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그 이후부터 그 대상-사물 혹은 풍경은 우리의 고정된 인식세계의 목록화된 대상-풍경이 아니라 탈 목록화된 풍경으로서 자리하며 기억의 흔적들을 따라 부유하는 텍스트화된 풍경이 된다.

작가 김재일은 우리가 쉽게 장악하고 있는 일상적인 풍경 이미지를 전복시킨다. 분명 그는 나무나 해변이나 별들을 집적된 이미지 혹은 음각화된 이미지로 재현시키지 않는다. 풍경에 대한 표상적 재현이 아니란 말이다. 단지 그는 동그란 흙 덩어리들로 대상(풍경)의 가시적 이미지들을 형상화 시키는 3차원 입체 조형방식을 택하지만, 이를 캐스팅한 후에 2차원 평면에 음각되어진 영역만을 드러낸다. 다시 말해 중첩된 포지티브한 양의 공간을 배제시키고 네가티브한 음의 공간의 일렁임을 우리 앞에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그의 중첩된 네가티브한 공간과 색점은 견고하게 구성된 우리의 대상에 대한 재현-이미지를 왜곡시키고 우리의 파편화된 풍경-이미지들을 재구성시키는 씨줄과 날줄의 역할을 할 뿐이다. 이러한 풍경의 불명확한 형태를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의식적 이미지화나 기하학적 구성방식의 인위적인 표현 체계와는 다른 세계, 지각 속에서 발생중인, 즉 진동하는 세계를 포착하게 한다. 아마도 쉽게 장악되지 않는 풍경에 내재된 흔적들에 대한 이미지화된 사유로, 가시적 공간과 비가시적인 공간의 기밀한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그 “흔적들에 대한 무엇들”이 그 스스로 빛을 발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의 조형어법에서 주목할 점은 3차원적 조형방식에서 2차원적 조형방식으로의 전환이다. 회화의 영역에서 색 층의 대비를 통해 대상의 인상을 잡아내려 한 것처럼, 그는 집적된 평면 안으로 네가티브한 공간을 구성하여 양각과 음각이 서로 충돌하며 빚어내는 인상을 포착하려 한다. 또한 풍경-이미지를 기하학적 구조로 파악함으로써 그 실재와 우리의 인식의 일치를 표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포착할 수 없는, 기하학적 구조로 환원될 수 없는 대상-세계의 현상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는 표상된 세계의 재현이 아니라 대상과 조우하고 있는 그 순간에 발현되는 것들을 담으려하는 태도라 할 것이다. 이를 비표상적 태도라 할 수 있는데, 비표상(Non-representation)은 작가가 작가의 표상세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현실 세계의 사물과 유사하도록 제작하는 방식과 다르다. 사물(풍경)에서 발생되는 현상을 자신의 눈을 통해서 촉발되는 타자로서의 사물(풍경)에 주목하는 태도, 즉 사물에서 발생되는 현상을 사물의 형상으로 되새겨주는 가변적인 행위를 비표상적 특성의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김재일의 경우 대상과 조우하는 그 순간에 대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적인 '흔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자 하는 태도라 할 것이다. 그리고 작가의 표현된 이미지는 신체와 세계의 만남, 즉 신체적 지각 '속에서'그 둘의 얽힘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적 심상-이미지는 롤랑 바르트가 <카메라 루시다>에서 그의 어머니 사진은 다른 이들에게는 하찮은 한 장의 사진이 되겠지만 그 자신에게는 어머니에 대한 푼크툼이 발생하는 장소이며, 어느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는 세계라는 언급을 떠오르게 한다. 바르트와 마찬가지로 작가의 작품은 그에게 있어 가장 소중한 기억들이 발생되는 장소이며, 지극히 개인적이며 공유 불가능한 개인적 정서의 표현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작가는 우리를 자신의 경험 세계로 이끌고 들어가려는 일차적 전략에 목적이 있지 않다. 우리는 여기서 작가의 일차적 표현 의도를 따라 이행하는 과정에서 무의미한 흔적들이 유의미한 흔적들로 전환되는 그 정신적 이탈의 순간에 작가의 풍경이 탈-물질화, 탈-조각화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작가는 일상적 풍경에 은폐되어있는 개인적 '흔적' 또는 공통감으로서의 '흔적'을 드러내 보여주려 하고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일상적 풍경의 형상을 빌어 제작함으로써, 그곳에서 발생하는 의미를 새롭게 환기하게하고, 재인식하게하며, 재해석을 유도해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작가의 중심은 형상의 재현 또는 복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재현에서 발생되는 “그 어떤 힘들”로, 모든 사물들의 현상 그 너머에 있으며, 그 세계의 특성들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방식이다. 일상적 풍경에서 탈 풍경으로의 전환을 통해서 작가는 우리의 삶과 더욱 밀접한 이야기를 하려하는 것이다.

황 찬 연 (예술학/예술철학)